[교육]대한민국 대표 UX전문가 7명의 UX활용 해법_20120925
Posted in 세미나/컨퍼런스/전달교육
대한민국 대표 UX전문가 7명의 UX활용 해법
일시 20120925 09:30~17:30
원문 URL : http://goo.gl/FSCka (들여쓰기나 사진 등이 제대로 안 보일 경우 원문으로 보세요.)
진화하는 사용자 경험,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(최재현, U2시스템)
- UXPA Korea 대표 (사용성 전문가 협회)
- 97년도 삼성전자 UI 인원은 총 네명이었음. 리모콘 관련 리서치 분석 발표 후 대표이사가 100명으로 확충시킴. UX는 점차 중요한 벨류 직군이 되고 있다.
- 세계는 지금 UX월드? 아디다. 지금은 싸이 월드.
- UX를 하는 당신은 행복한가? 행복하진 않지만 프라이드는 가지고 있을 것이다. 왜 그런지 알아보자.
- UX 중요성 부각
- ISO에 UX라는 용어는 이미 정의되어 있다.
- 올해 제스처 인터랙션도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이 있다.
- 표준화 한다는 건 국가별로 공통화 하겠다는 것.
- 휴대폰 구매 우선 1순위 : easy to use.(예전부터 그랬다)
- 2001년 조사에서 UX는 보조 요소가 아닌 경쟁 요소가 되고 있다고 이미 발표되었다.
- 실리콘 밸리의 인력 변동 : FB에서 주요 UX인력을 흡수하고 있다. UX의 중요성을 반증. 언어가 되면 미국으로 가라!
- 그러나 한국의 불편한 진실
- 낮은 연봉(미국은 1억까지)
- K컨슈머 – 1500만원짜리 반쪽 보고서.(제대로된 정보가 없다) 반면 잡스도 꺽은 미 리포트(객관성과 공정성을 유지하므로)
- UX중심의 콰드로버전스(quadrovergence)로 수익 창출하는 애플과 다른 한국의 경영 구조.
- 콰드로버전스란? 콰드로버전스는 인프라·하드웨어·소프트웨어·서비스 등 4개가 융합된 것으로, 그 정점의 가치는 바로 콰드로버전스가 이뤄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(UI·User Interface)와 사용자 경험(UX·User eXperience)이다.
- 전자정부를 해외로 수출하려 하지만 사용율은 오히려 저조(각 부서의 정책이 달라 일관성 있게 만들수가 없다)
- UX시장 현황 및 이슈
- 학계에서 다양한 학과 마련
- 산업에서 신규 인력 채용
- 그러나 소프트웨어 투자 예산은 너무 적다.
- 에이전시 입장에서는 일이 없다.(인하우스에서 모두 처리)
- CEO의 UX사랑은 너도나도 넘친다(삼성, 엘지, 삼성, 인텔, 소니, 앱슨, 로지텍)
- UX 자격요건(Professional Qualification)
- 엔지니어링, 디자인, 인문학적 접근이 필요
- 각자의 분야에서 전공을 살리되 융합하는 사고 필요
- 엔지니어링
- Fitts’ Law : 인터뷰 때 써보자.
- 디자인
- 보이지 않는 가치의 차이
- 애플과 삼성의 소송에서 한국은 2500만원, 미국은 1조 2000억원 배상으로 판결.
- 인문학
- 생일축하곡(세계에서 가장 많이 불리는 노래)
- 공공장소에서 부르면 저작권 내야함.
- UX 성공 스토리
- 삼성 S펜 / 엘지 매직모션리모콘 / 포드 코리아 / 와인 폰 / 감자 세탁기(감자를 돌려 세탁기가 고장나자 감자를 씻어도 고장나지 않는 세탁기 만듬)
- UX이후엔
- 반드시 가치를 파악해야 한다.(단순 보고서 형태가 아닌)
- 그것이 UX 스스로 가치를 올리는 일
- 핫 이슈
- Connectivity
- WEARABLE UX
- big brain(Data, screen, contents)
- 그래도 UX는 망할 수 있다. 무엇이 필요?
- 산업화 전략 필요
- Faster(process) / Deeper / Broader
- UX인증 필요
- Global networking 필요
- SW법령 추진
- UX검증센터
- 1인 1 UX 특허내기
- 10/25~26 UX symposium . Imaging Experience.
UX적용 관점별 워크숍 실무 적용 방법론(전민수, 이비피알컨설팅)
- UX인력을 키우려면? 아래 세 가지에 주목
- 방법론
- 사용자의 행태 해석(철학)
-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활용 정도
- UX방법론
- UX디자인커뮤니케이션 1, 2 책을 마스터 하라
- 대부분의 방법론이 있음.
- 동일저자(댄브라운)임. 2에는 1에 내용이 없음. 즉 1을 꼭 읽어야 한다.
- 그러나 1은 절판되었다. 그래도 꼭 봐야 한다.
- UX방법론은 한번에 습득할 수 없다. 지속적인 습득을 통한 마스터 필요
- UX철학
- HCI개론 책을 마스터 하라
- 어피니티 다이어그램
- 오늘의 사례로 습득하라
- UX방법론 워크숍
- 국내와 해외의 UX Process를 현실적으로 비교해준다(강사)
- 서로 비교해 보고 새로운 방법론이 더 필요 없을지 토론해본다.(조별로)
- 이때 잘 모르는 부분은 리스트 업하여 강사에게 질문한다.
- 이 과정을 통해 방법론을 습득할 수 있다.
- UX용어집 워크숍
- HCI개론을 먼저 읽어야 한다.
- 왜? 철학을 알아야 한다. UT를 해봐야 해석능력이 없으면 인사이트 도출 힘들다.
- UX용어를 생각나는대로 나열하여 보드에 쓴다
- 각 용어들이 아래 요소 중 어디에 포함되는지를 포스트잇으로 붙여본다
- 가로 : 기획, 전략, 설계
- 세로 : 사용자 설계(유용성, 사용성, 감성), 전문가 설계(유용성, 사용성, 감성)
- 이 과정을 통해 각 방법론이 전체 프로세스에서 어떻게 쓰이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.
- 서비스 역할 정의 워크숍
- 브랜드별 서비스 특징을 우선 토론해본다.
- 서비스 역할과 우선순위 정의 한다.(항목, 키워드, 인사이트, 점수, 문차트로 정리)
- 전체 서비스 내용과 우선순위 파악이 가능하다.
- 여정맵 응용 워크숍
- 사용자 서비스 이동 동선을 설계해 보는 것(Task flow, Use flow 설계)
- 여정 맵이 먼저나와야 퍼소나 등 이후 설계가 가능하다.
-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동선으로 벤치마킹 하며 자사 서비스 분석이 가능하다.
- 전체 동선을 보드에 길게 그린다.
- 아래에 각 동선에 해당하는 기능을 쓴다
- 세로 선으로 5점 척도에 해당하는 감정 얼굴을 붙인다.
- 그 아래에 각 캡처 화면을 붙여 여정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를 한눈에 볼 수 있다.
- 경쟁사와 함께 보면 장단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.
- 사용성 설계 워크숍
- 위 의 두 책을 마스터한 후 가능함.
- 사용성 지표에 해당하는 사례 수집한다.
- 어피니티 한다
- 스케치한다(근거가 반드시 필요)
- 페이퍼 목업 제작으로 종료한다
- rojer70@ebpr.co.kr 에 사례집 요청 가능.
UX 너 어디에 있는거니(권오재, 한국산업기술대)
- 삼성전자 UX혁신팀 만든 장본인임
- UX는 강제로 공부해서 2-3년안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. 문화이기 때문에 성숙할 시간이 필요하다.
- UX란?
- 다들 아는것 처럼 말하지만 모른다.
- 일반적인 당연한 걸 이야기 하는 것이 UX일 수 있기 때문에 더 말하기가 어렵다.
- 또는 고급스럽게 이야기 하려고 하니 어렵다.
- 누군가 이 리모콘에서 UX요소는 뭐야? 라고 물을 때 정확히 얘기해줄 수 있는 사람이 별로 없다.
- 그런 사람이 되는 방법을 찾으려고 이 자리에 모인 것.
- UX는 왜 필요한가?
- 돈을 벌려고.
- 삼성에서 UX를 도입하고 34조원 -> 165조원이 됨.
- 기능가치 중심 -> 감성가치 중심으로 변화
- UX디자인의 근본사상?
- TV를 보던 중 노자 사상에 공감했다.
- 노자(무위사상:인위적으로 하지마라=emotion) vs 공자(유가: 발전시켜라=technology)
- 이전에는 공자 사상이었다면 노자 사상이 대두되는 상황
- 따로 갈 수는 없다
- UX가치
- 소유욕 -> 감동욕으로 변화
- 소비자, 상품, 정직, 품질, 지명도, Identity, 기능, Service, Communication ->인간,체험, 신뢰, 동경, Personality, 감각, 릴레이션쉽, 쌍방향으로 이행
- 가치는? 전혀 기대하지 못했던 무엇인가 다른 경험을 줄때 생김.
- 단지 비싼 것이 아니라 Touch sometihing을 주는 상품. 기꺼이 대가를 치를 만큼 가치가 있는 것이 UX다.
- 기대하지 못했던 경험이란 뭘까?
- 단순한 오렌지 사진으로 기대 가능한 것은? – 신맛?
- 오렌지 쥬스, 오렌지에 빨대. 네모난 오렌지를 보고 신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나?
-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something을 찾을 수 있다.
- 이때 기능적인 것은 기본 전제이다.
- UI vs UX
- UI적 접근(빠르고 편리)만으로는 기대하지 못했던 감성적 가치 소구 힘들다(사진 참고).
- 관점을 바꾸면 대박 가게도 만들 수 있다.(호빵 가게 일화 설명)
- 본질(기능)을 탄탄히 하고 감성(UX=기능+감성)을 입히는 기술이란?
- PS3 vs Wii : 댓글만 봐도 다르다.
- 다방 vs 스타벅스
- 지혜의 근원은 과학, 기술, 이론이 아니라 인문학과 대자연속에 있다.(경험에 있다)
- 인문(인간+문화) : 인간 중심 = Ux :인간중심
- 보이지 않는 가치
- 일본 Okura 호텔 사례
- 침대위에 종이학 UX
- Experience map으로 표현.
- 단순 학(기능)에 문화(스토리텔링)를 집어넣어 감성(UX)을 창출할 수 있다.
- 개발 초기부터 Workflow상의 협력이 먼저 이루어져야 가능하고 각 기능별 전문성을 발휘하면 UX창출이 가능함.
- UX는 기능 기반에 감성을 입힌 것이다.
- 기능 + 감성
- 사례 : 접힌 휴지, 울지 않는 아이 진찰, 메시징 UI의 변화
- 기존의 UX는 기능제한적. 인문이 접목되면 기술, 감성, 다학, 장기적 관점 필요하다.
사람의 마음을 읽는 서비스를 디자인하라(최영현, 대한에이엔씨R&D연구소)
- Contrex 동영상
- 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c8XoYynqdNY
- 미네랄 음료 광고
- SNS시대 광고를 어떻게 전달할지 보여주는 사례.
- 동정 vs 공감
- 동정이 일부의 마음이 겹쳐진 것이라면 완전히 합쳐진 것이 공감이다.
- 사례
- 뽀로로 (아버지와 아들이 합쳐진 예)
- OXO의 감자깎기, 계량컵(남편과 아내가 합쳐진 예)
- (((((UI)UX)CX)HX)
- UT를 하며 제품을 개선했지만 근원적인 문제 해결은 안되었음.
- CX, HX로 확장
- 제품 -> 사용자 경험 -> 고객경험 -> 인간 경험으로 중심 옮겨감.
- UX
- 서비스가 일어나는 접점에서 사용자가 경험하는 모든 것.
- CX
- 서비스 이용전, 중, 후를 여정맵으로 표현.
- 해외에서는 7점 만점 중 3.5점 이하로 떨어지지 않게 과학적으로 관리함.
- 얼굴 움직임 부호 체계(Facial action coding system)
- 행복할 때의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tagging하여 서비스 이용시 만족도를 데이터화 할 수 있다.
- -> 이모션에 대한 부분을 분명히 건드려줘야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다.
- 사람들의 문화, 관습, 맥락을 관찰 연구해야 함이 필요.
- 이용 행태 연구 관찰 -> 사용자의 의도 파악 불명확
- Think aloud기법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의도를 말하도록 함.
- 잠재니즈 연구(뇌파 등 비언어적 데이터 수집) -> 보이지 않는 영역까지의 연구가 필요하다.
- 캐즘
- 일반 소비자가 못 받아들이는 것
- 캐즘을 극복해야 롱런할 수 있다.
- 실용적인 UI -> 직관적이고 편리한 UI -> 재밌고 유용한 UI로 변화
- Nature UI가 현재 화두
- 매슬로우의 욕구 피라미드가 뒤집어졌다
- 2500짜리 김치찌게를 먹고 5000짜리 스타벅스의 문화를 산다
- 다가온, 오고 있는 UI
- 큐레이션 UI :
- FB보다 Pinterest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.(정보 홍수에서 정리된,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보려는 욕구)
- 북마크/큐레이션 서비스가 더 발전된 것이라는 전망.
- 사람들은 쉽고 빠르게 정보를 습득하고 싶어한다.
- 상황인식 UI
- 아이폰 4s 격렬한 부부싸움 동영상 : 상황에 따른 인터랙션의 극단적인 예.
- http://kaliuma.tistory.com/m/post/view/id/534
- 디지로그 UI : 온오프라인과 연결된 경험 제공 : (예)갤노트의 펜 활용
- 디지털 생태계 (서비스 이용행태)의 변화
- PC앞에서 장시간 사용 -> 순간 순간 짧은 시간(남는 시간)에 정보 이용
- 이에 맞는서비스와 UX 필요
- 메가트랜드
- 앱=웹
- 디바이스+서비스
- 플랫폼+에코시스템
- ZIpcar 사례
- 현실은 개발자, 디자이너, PM이 공감이 안되는 상황
기업의 UX영속성을 높이는 효율적인 방안(박진현, 계원예술대학교)
- UX
- 알면 알고 모르면 절대 모른다.
- 끌어내려면 질문을 잘 만들어야 한다.
- 90년대 생
- 현재 또는 미래의 작업자, 소비자(클라이언트)이다.
- 그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.
- 지도 교수 설명
- Brenda Laurel
-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가르쳐줬다.
- UX : 경험 + 인지 + 감정까지 확장. (20년 전에 이미 정의하였다)
- 경험이란?
- 자극 -> 판단 -> 행동 -> 감정
- 쉽게 그림으로 설명하면, 앱을 보고 -> 사용할지 말지 판단하고 -> 눌러보고 -> 만족하거나 실망한다.
- (사람들은 그림을 보여줘야 쉽게 이해한다)
- = GUI -> IA -> Interaction -> UX 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.
- 세대의 이해 : 83년생과 90년생
- Digital emigrant(TV) -> Digital 1.5 Generation -> Digital Native(Digital Media)
- 83년 이전 생은 수동적.
- 이후 세대는 능동적. 액티브함. 늘 ‘왜’ 라는 질문을 가지고 있다. 스스로 결정권을 가져야 한다.
- 2000년대생은 2살때 부터 아이패드를 쓰고 있다. 어찌 바뀔지??
- 디지털 미디어에 의해 사람의 뇌, 문화마저 바뀔수 있다는 이야기.
- 디지털 네이티브의 니즈
- 전체 그림 제시해야 한다.
- 합리적인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도록
- 명확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.
- 디지털 네이티브의 특성
- 좋은 건 불명확
- 싫은 것은 적극적으로 표현(안티, 왕따)
- 디지털 네이티브 교육 시
- 로드맵 제시
- 표준 프로세스 제공
- 명확한 기준 설정
- 판단의 위임(스스로 할 수 있도록)
- 기존 교육 환경에서의 UX : 적합하지 않다.
- 디자인 학과에서 배움.(제대로 가르쳐 줄 사람이 없다)
- 결과 중심적이었다.
- 그림이 중요했다.
- 전체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.
- 하여 인포메이션 트랙 등으로 제시했지만 커리큘럼의 문제로 시수가 줄어드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.
- 새로운 UX 교육(2.0) 도입
- 도입을 위해 리서치 진행
- 크게 4영역 화 : Finding Understanding Making Documenting
- 1. 이해, 관찰, 분석 / 2. 통찰, 발상 / 3. 제작 / 4. 마무리 /의 7개 단계로 재 정리
- 우리나라는 통찰(지혜의 영역)이 빠져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.
- 뉴 비전(2.0 적용 후)
- 전체 프로세스의 이해가 가능하다.
- 체계적인 수업 영역 설정 및 세분화가 가능하다.
- 수업 간의 연계 강화가 가능하다.
- 전체 프로세스와 세부 프로세스의 체계 정리가 가능하다.
- 시수확대와 전문성 강화가 가능할 것이다.
- UX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
- 인포그라픽 없이 이야기를 할 수 없다.
- 동영상으로 만들어줘야 이해도 높다.
- UX를 모르는 그들에게 주어야 할 화두
- 경험의 해부
- 행동에 대한 고찰
- 하드웨어의 이해
- 욕구/욕망/사람에 대한 이해
- 모르면 물어볼 수 있는 환경 만들어 주기.
- UX 책읽기의 노하우
- 정독해서 다 알기 힘들다.
- 필요한 부분만 발췌해서 읽어라.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이후 내용은 강사님과의 미팅으로 일부 내용이 누락되었습니다. XD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리서치 중심으로 본 UX수행 프로세스와 기업의 적용방법(조성봉, UX1)
- 일부 내용 누락
- 12가지 인터뷰 기술
- Cognitive maps : 사용자의 경험을 공간적인 형태로 표현
- Unfocus group
- Social network mapping
- Extream user interview
- 관찰 조사기법
- Photo diary : 사용자가 스스로 작성
- Shadow tracking
- Town watching
- Error Analysis
- Journey Map
- 리서치 전에 미리 그려보는 것이 좋다.
- Persona + Story
- Emergence, 창발성
-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
- Steave Johnson – 개미의 이동 경로가 패턴이 되는 예.
- Affinity Modeling
- 모아진 이슈를 그룹핑 한 후 헤더를 붙인다.
- 관찰내용, 의견, 발견으로 정리함.
- 전체에 대한 패턴을 알 수 있다.
- 널려있는 단초로 부터 의미있는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