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자인과 인간심리 2장_ 일상 행위의 심리학
Posted in 디자인과 인간심리
1. 잘못된 자기 자신 비난
• 사람은 잘못을 저지른다
– 과제가 쉽고 사소할수록 자신을 비난하고 자기 잘못을 고집함
– 과제가 쉽고 사소할수록 자신을 비난하고 자기 잘못을 고집함
2. 일상생활의 오해
• 아리스토텔레스의 소박한물리학
–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은 물리학적으로 틀렸는지 모르지만, 현실세계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들을 잘 기술한다.
–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은 물리학적으로 틀렸는지 모르지만, 현실세계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들을 잘 기술한다.
• 사람은 설명을 찾는 존재다.
– 이용 가능한 지식에 의존해서 모든 사람은 자기의 경험과 관찰한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심성모형을 형성한다
– 이용 가능한 지식에 의존해서 모든 사람은 자기의 경험과 관찰한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심성모형을 형성한다
3. 엉뚱한 원인을 비난하기
• 사람들은 사건 간 인과관계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.
– 우리는 행위와 전혀 관계 없는 사물에 원인을 돌리기도 하고 때론 실제 원인을 무시하기도 한다.
– 우리는 행위와 전혀 관계 없는 사물에 원인을 돌리기도 하고 때론 실제 원인을 무시하기도 한다.
• 학습된 무력감(learned helplessness)
– 한 과제에 여러 번 실패하여 자신이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더 이상 시도하지 않는 현상
– 한 과제에 여러 번 실패하여 자신이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더 이상 시도하지 않는 현상
• 가르쳐진 무력감(taught helplessness)
– 어떤 것을 실패하면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하고, 다음번에 그 일을 시도도 하지 않게 되는 현상
4. 인간 사고와 설명의 본질
• 잘못된 것은 디자인이다.
– 문제가 생기면 고도의 기술을 가족 있는 훈련된 사람들은 복잡한 장치를 사용한다.
그들은 무엇이 문제인지 밝혀야 하지만 설계 장치가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계기기가 잘못되었다고
여긴다.
그렇게 되었을 때 대형사고로 이어진다.
5. 사람들은 어떻게 일을 하는가 : 행위의 일곱 단계
• 우리는 행위의 구조를 검토해야 한다.
– ①목표의형성 ②의도의 형성 ③행위의 구체화 ④행위의 실행⑤외부세상 상태에 관한 지각
⑥외부 세상 상태에 관한 해석 ⑦결과의 평가
• 실행과 평가의 간격은대응과 피드백의 문제다.
– 실행의 간격 : 한 시스템이 사람들의 의도와 일치하는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가?
– 평가의 간격 : 한 시스템이 사람들의 기대와 의도를 감안하면 직접 지각 및 해석할 수 있는 물리적 표상을
제공 하는가?
6. 디자인을 도와주는 행위의 일곱 단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