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14장 사용경험 평가 Part 1](김연희)
14장 사용경험 평가
1. 사용경험 평가의 특징과 중요성
-
사용경험 평가란?
: 사용자 입장에서 실제로 제품이나 서비스와 연관된 것을 사용해 보고, 그 경험에 대해 판단하는 것
–> 그 결과를 바탕으로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도록 노력 필요
- 사용경험 평가의 특징
① 유용성, 사용성, 감성을 총괄하는 총체적 특징을 지님.
– 과거에는 사용성 위주로 평가하였음.
– 감성이나 유용성은 객관적,과학적 측정이 어려워 정성적 평가 비중이 늘어날 수 밖에 없음
==>균형있게 다루는 것이 필요
② 실제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사용해 봐야 함.
③ 실제 사용현장에서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. 대부분 현장평가 위주로 진행.
– 내용이 광범위하고 정성적이기 때문에 평가 결과를 숫자로 요약하거나 해석하기 어려움.
– 평가 외적인 요인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타당한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.
==> 현장 평가 + 실험실 평가를 포함하는 통합 사용경험 평가법 필요
2. 사용경험 평가의 종류
― 2.1 평가 목적에 따른 분류
① 결론적 평가 : 특정 기준을 미리 세워놓고 그 기준을 최종적으로 통과했는지 못했는지 판단
-> 주로 외부업체와 프로젝트 진행 하는 개발 말기에 사용
② 탐험적 평가 : 여러가지 대안을 생각. 그 중 각 대안들이 지닌 장단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행
-> 더 좋은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입력자료로 활용
③ 진화적 평가 :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단계에 맞춰 결론적 평가와 탐험적 평가를
적절하게 배합해 평가 진행 =>사용경험 평가에서 가장 적절한 방법
― 2.2 프로토타입의 완성도에 따른 분류
평가대상의 충실도 : 최종 제품이나 서비스에 비교해 현재 평가 대상이 되고 있는 프로토타입이 얼마나
완성도가 높은지 의미
① 감각적으로 정보 제공의 완성도가 얼마나 높은 프로토 타입인가
② 기능의 다양성 : 완성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을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
③ 기능의 완성도 : 완성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을 얼마나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는지
④ 상호작용성의 풍부성 : 완성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상호작용성을 얼마나 완벽하게 묘사하는지
⑤ 데이터 모형의 풍부성 : 완성된 제품이나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가
l실제 제품과 유사한 모형을 가지고 평가를 진행
– 장점 : 구체적 자료를 얻을 수 있고 상호 작용을 경험 / 단점 : 많은 시간과 비용 소요
– 단점 : 구체적으로 어떤 경험을 할 수 있는지 불명확, 손으로 조작해야 하기때문에 작업성과를 측정하기 힘듦
–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상으로 구현
감각적 프로토 타입 제작 : 사용자가 보거나 듣거나 만지는 부분을 정교하게
―2.3 평가자에 따른 분류
분석적 평가 방법 : 이미 만들어진 시스템이나 앞으로 만들 시스템을 전문가가 평가 (예측적 평가)
l 검사법 : 전문가가 이미 정해진 평가척도에 따라 시스템 평가
: 시스템 요소들이 휴리스틱을 얼마나 잘 준수하고 있는지 전문가들이 판단하는 평가방법
(*휴리스틱 – 경험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, 학습하거나 발견해 내는 방법)
⑴ 인지적 리허설 검사법 : 사용자가 시스템과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얼마나 쉬운지
⑵ 집단 리허설 검사법 : 사개발자 및 전문가들로 구성된 그룹이 일반 사용자 역할을 가정
– 장점 : 시스템이 완성되기 전에도 평가 가능, 세밀한 부분 자세히 검사 가능
– 단점 : 사용성에 초점, 감성이나 유용성에 대한 평가 어려움, 비 전문가가 모형을 만들기 어려움
=>탐험적 평가
동시 진행하는 경우 사용
ex)좌담회
ex) 검색 방법과 인터페이스 보완
ex) 휴대전화 시제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