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14장 사용경험 평가 Part 1](김연희)

0 Flares Twitter 0 Facebook 0 Filament.io 0 Flares ×

14장 사용경험 평가 

 

 

 

1. 사용경험 평가의 특징과 중요성 

 

 

 

 

  • 사용경험 평가란?  
    : 사용자 입장에서 실제로 제품이나 서비스와 연관된 것을 사용해 보고, 그 경험에 대해 판단하는 것 

    –> 그 결과를 바탕으로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도록 노력 필요 

 

 

  • 사용경험 평가의 특징

 

① 유용성, 사용성, 감성을 총괄하는 총체적 특징을 지님. 
   – 과거에는 사용성 위주로 평가하였음.
– 감성이나 유용성은 객관적,과학적 측정이 어려워 정성적 평가 비중이 늘어날 수 밖에 없음
        ==>균형있게 다루는 것이 필요

 

② 실제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사용해 봐야 함.

 

③ 실제 사용현장에서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. 대부분 현장평가 위주로 진행.
– 내용이 광범위하고 정성적이기 때문에 평가 결과를 숫자로 요약하거나 해석하기 어려움.
– 평가 외적인 요인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타당한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.
==> 현장 평가 + 실험실 평가를 포함하는 통합 사용경험 평가법 필요 

 

2. 사용경험 평가의 종류
― 2.1 평가 목적에 따른 분류  

 

① 결론적 평가 : 특정 기준을 미리 세워놓고 그 기준을 최종적으로 통과했는지 못했는지 판단
-> 주로 외부업체와 프로젝트 진행 하는 개발 말기에 사용 

 

② 탐험적 평가 : 여러가지 대안을 생각. 그 중 각 대안들이 지닌 장단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행
-> 더 좋은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입력자료로 활용

 

③ 진화적 평가 :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단계에 맞춰 결론적 평가와 탐험적 평가를
적절하게 배합해 평가 진행 
=>사용경험 평가에서 가장 적절한 방법

 

― 2.2 프로토타입의 완성도에 따른 분류 

 

평가대상의 충실도 : 최종 제품이나 서비스에 비교해 현재 평가 대상이 되고 있는 프로토타입이 얼마나
완성도가 높은지 의미   

 

① 감각적으로 정보 제공의 완성도가 얼마나 높은 프로토 타입인가
② 기능의 다양성 : 완성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을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
③ 기능의 완성도 : 완성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을 얼마나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는지
④ 상호작용성의 풍부성 : 완성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상호작용성을 얼마나 완벽하게 묘사하는지
⑤ 데이터 모형의 풍부성 : 완성된 제품이나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가

 

 

 

l실제 제품과 유사한 모형을 가지고 평가를 진행
– 장점 : 구체적 자료를 얻을 수 있고 상호 작용을 경험 / 단점 : 많은 시간과 비용 소요  

 

 

(출처 : 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darkview&logNo=177122343&categoryNo=143&parentCategoryNo=90&viewDate=&currentPage=&postListTopCurrentPage=&isAfterWrite=true)

 

l 종이로 만든 프로토타입 : 가장 충실도가 낮은 프로토타입 

 

– 장점 : 만들기 쉽고 단시간에 만들수 있음
– 
단점 : 구체적으로 어떤 경험을 할 수 있는지 불명확, 손으로 조작해야 하기때문에 작업성과를 측정하기 힘듦


(출처 : http://www.flickr.com/photos/noyuna/5121841229

 

 
부분적 충실도 : 프로토타입을 부분적으로 조정 
l  개발 초기 : 제품이나 서비스가 없더라도 경험하게 될 사용자의 경험 자체에 초점
어느정도 아이디어 진행 시 : 상호작용성 차원의 충실도를 높이는 프로토타입 제작 활용. 
    
오즈의 마법사 방법 (wizard of oz)
– 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상으로 구현   
 – Sketch -> Snap -> Select ->Link -> Play
 감각적 프로토 타입 제작 : 사용자가 보거나 듣거나 만지는 부분을 정교하게


2.3 평가자에 따른 분류


분석적 평가 방법 : 이미 만들어진 시스템이나 앞으로 만들 시스템을 전문가가 평가 (예측적 평가)
l 검사법 : 전문가가 이미 정해진 평가척도에 따라 시스템 평가 

① 리스트 검사법 : 전문가가 시스템을 평가
 휴리스틱 검사법
: 시스템 요소들이 휴리스틱을 얼마나 잘 준수하고 있는지 전문가들이 판단하는 평가방법
(
*휴리스틱 – 경험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, 학습하거나 발견해 내는 방법)
 정규 사용성 검사법
⑶ 지침 평가법
⑷ 제원 검사법
⑸ 일관성 검사법 
⑹ 표준 검사법 
② 리허설 검사법 : 전문가가 사용자인 것처럼 리허설을 해서 문제점 찾아냄. 학습 용이성에 유리
 인지적 리허설 검사법 : 사용자가 시스템과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얼마나 쉬운지 
 집단 리허설 검사법 : 사개발자 및 전문가들로 구성된 그룹이  일반 사용자 역할을 가정 

 

 

 

l 모형법 : 전문가가 예상모형을 구축, 그 모형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 봉착하게 될 문제점 분석 
– 장점 : 시스템이 완성되기 전에도 평가 가능, 세밀한 부분 자세히 검사 가능
– 단점 : 사용성에 초점, 감성이나 유용성에 대한 평가 어려움, 비 전문가가 모형을 만들기 어려움 

 

 

 

실증적 평가 방법 :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 

 

l 정규적 평가 : 정해진 방법론에 따라 절차, 기준을 세워 진행 

 

 실험실 평가 : 철저한 통제, 정밀한 평가. 표준이나 규제 같은 정밀 평가가 필요한 경우 사용

 

⑴ 과정평가 :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어떤 생각, 어려움을 겪었는지
=>탐험적 평가

 

⑵ 성과평가 :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빠른 시간에 적은 오류로 과업을 달성했는가 =>결론적 평가 

 

 현장 평가 : 높은 현실성. 사용자가 시스템을 실제 사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거나,
동시 진행하는 경우 사용 

 

 FGI : 여러 사용자를 현장과 가까운 장소에 불러, 시스템 사용에 대한 경험을 토론
ex)좌담회

 

⑵ 맥락질문법 : 사용자가 평소에 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소에 평가자가 가서 인터뷰를 하는 방법
ex) 검색 방법과 인터페이스 보완

 

⑶ 현장관찰법 : 실제로 사용자가 시스템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관찰하는 방법
ex) 휴대전화 시제품

 

 

 

l 비 정규적 평가

 

① 단기 평가 : 시스템 초기단계 평가 

 

⑴ 학습적 평가 : 사용자- 시스템간 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평가

 

⑵ 수용도 평가 : 사전 지식 없이 시스템을 제공. 사용자가 얼마나 시스템을 받아들이는지 평가

 

② 장기 평가 : 극단적 상황에서 시스템의 장기적 성능 평가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⑴ 파괴평가 : 사용자가 시스템의 오류를 발생하게 만들고, 이 과정에서 문제점을 평가 

 

⑵ 경쟁평가 : 여러 사용자에게 동일 시스템을 동시에 제공. 누가 얼마나 많은 문제점을 발견하는지 경쟁 

 

 

 

è 다양한 평가방법이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음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김 연희 (52 Posts)


0 Flares Twitter 0 Facebook 0 Filament.io 0 Flares ×